Table of contents
Open Table of contents
반전 패턴
- 반전 패턴은 주가에서 주식시장 심리와 추세의 변화를 알려주는 단서중 하나.
- 반전 패턴이라고 기존의 추세가 갑자기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된다는 의미는 아니다.
- 추세는 시장의 심리가 바뀌면서 보통 느리게 단계적으로 변한다.
우산형(umbrella Lines)
- 아랫그림자가 길고 몸통이 작은 캔들(양봉이든 음봉이든)을 나타낸다.
- 하락 추세에 우산형이 나타나면 하락 추세가 끝났다는 신호이다.
- 이러한 우산형을 “망치형”이라고 부른다.
- 망치형은 나타나면서 주가의 바닥을 확인한다.
우산형은 그전에 지속된 추세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. 망치형과 교수형은 다음 세 가지 사실로 판단한다.
- 몸통이 거래 범위의 맨 위쪽에 있다. 몸통의 색깔은 중요하지 않다.
- 아랫그림자가 길다. 적어도 몸통 길이의 두 배이다.
- 윗그림자는 없거나 매우 짧다.
- 추세: 망치형은 하락장 마지막에 나타난다. 교수형은 상승장 마지막에 나타낸다.
- 캔들이 나타나기 전 주가 변동의 폭: 단기간의 하락 뒤라도 망치형은 유효하다. 하지만 교수형은 상당히 큰 상승폭, 특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뒤에 나타난다.
- 확인: 교수형은 확인 과정이 필요하고 망치형은 필요없다.
망치형(hammer)
- 망치형의 아랫그림자는 몸통의 2~3배이상 길어야 한다.
- 종가가 장중 고가 근처에서 형성됐다는 사실은 매도세력이 주도권을 상실했다는 것을 뜻한다.
- 망치형이 완성되면 망치형의 저가가 지지선(손절라인)이다.
교수형(hanging man)
- 교수형은 주가 상승 마지막에 출현한다.
- 교수형의 경우는 하락 추세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.
- 최소한 다음날의 시가가 교수형의 몸통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.
- 보통 교수형 아래로 종가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고 난 다음 추세를 하락세로 판단한다.
장악형(engulfing pattern)
- 장악형음 상반된 색깔의 몸통 두 개로 구성되어 있는 중요한 반전신호이다.
- 상승세 양봉이 나타나 앞에 있는 음봉의 몸통을 덮거나 삼켜버리면 상승 장악형이다.
- 하락세 음봉이 나타나 앞에 있는 양봉의 몸통을 덮거나 삼켜버리면 하락 장악형이다.
장악형은 세 가지 기준으로 판단한다.
- 단기간이라 하더라도 주가의 상승 추세나 하락 추세가 명확해야 한다.
- 두 개의 캔들이 장악형을 형성한다. 두 번째 캔들이 첫 번째 캔들의 몸통을 덮어야 한다. (그림자까지 덮을 필요는 없다.)
- 장악형에서 나타나는 두 번째 캔들의 몸통은 첫 번째 캔들의 몸통과 색깔이 달라야 한다.
- 하락장악형의 저항선은 두 캔들의 고점의 max이다.
- 상승장악형의 지지선은 두 캔들의 저점의 min이다.
장악형이 중요한 반전 신호가 될 신뢰도를 높이는 경우
- 장악형의 첫 캔들의 몸통이 매우 작고, 두 번쨰 캔들의 몸통이 매우 길다.
- 매우 길거나 신속한 주가 움직임 뒤에 장악형이 나타났을 때이다.
- 장악형의 두 번째 캔들의 거래량이 엄청난 때이다.
장악형은 주로 지지선과 저항선을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.
흑운형(dark-cloud cover)
- 흑운형은 두 개의 캔들로 이뤄진 하락 반전 패턴으로 상승 추세 마지막에 나타나거나 때때로 밀집해 있는 여러 캔들의 맨 위에 나타난다.
- 첫 번째 캔들은 강세의 양봉이며, 두 번째 캔들의 시가는 전날의 고가보다 높다.
- 두 번째 날의 종가가 첫 번째 캔들의 몸통 절반 이하에 위치해야 한다.
관통형(piercing pattern)
- 흑운형과 상반되는 패턴이다.
- 첫 번째 캔들은 음봉이고 두 번째 캔들은 양봉이다.
- 양봉의 시가는 전날의 저가보다 낮지만 그 뒤에 주가는 전날의 음봉 몸통 안으로 파고 들어간다.
- 흑운형에서는 두 번째 날의 음봉이 전날의 양봉 몸통 절반보다 아래에서 종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규칙에는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다. 하지만 관통형에는 융통성이 별로 없다.
- 관통형의 양봉은 필히 음봉 몸통의 절반 위로 올라가 있어야 한다.